세종문화회관(사장 안호상)은 오는 7월 4일(금)부터 9월 6일(토)까지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싱크 넥스트 25(Sync Next 25)를 개최한다. 싱크 넥스트는 2022년 국내 대표 블랙박스 극장인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를 기반으로 첫선을 보이며, ‘경계 없는 무대, 한계 없는 시도’를 모토로 다양한 장르 간 융합과 새로운 형식의 공연을 시도해왔다. 지난 3년간 총 55팀의 아티스트와 34편의 공연을 선보이며, ‘실험성·도전성·동시대성’을 갖춘 믿고 보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4년 차를 맞은 올해 싱크 넥스트 25는 더욱 차별화된 프로그램 구성과 관객 경험 확장을 통해, 동시대 주목받는 아티스트 18팀과 함께 한다. 테크노, 앰비언트, 현대음악, 네오소울, 힙합 등 다양한 음악 장르를 중심으로 장르와 공연 형식의 경계를 허무는 획기적인 시도가 펼쳐진다. 《루시드폴·정마리·부지현》, 《수민&슬롬》, 《앙상블블랭크·주정현》, 《코끼리들이 웃는다》, 《리퀴드사운드》, 《강남·김효은·이준우》, 《제이통》, 《해니·미스터 크리스》, 《문상훈과 빠더너스》, 《김성훈》, 《벌트vurt.·업체eobchae》와 같이 18팀의 아티스트가 총 11개 프로그램, 32회 공연으로 무더운 여름을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2024년 독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베를린 테크노 문화’를 조명하는 프로젝트(벌트vurt.·업체eobchae), ▲유튜브 채널 ‘빠더너스 BDNS’의 프런트맨이자 배우 및 작가로 활약하는 문상훈의 첫 무대 작업(문상훈과 빠더너스),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30명의 무용수와 함께하는 컨템퍼러리 무용(해니, 미스터 크리스), ▲라이브러리컴퍼니와 공동 개발한 신작 트라이아웃(강남·김효은·이준우) 등 공연 소재, 방식, 형식에 이르기까지 세종문화회관이 자체 제작한 프로덕션들이 눈길을 끈다.
또한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도 함께 마련돼 관객의 몰입과 참여를 확대한다. 서울시발레단 《데카당스》로 화제를 모은 안무가 오하드 나하린의 신체 움직임 언어 ‘가가(Gaga)’를 체험하는 워크숍이 열리며, 공연에 참여한 아티스트들이 함께하는 토크 세션도 진행된다. 국내 전통주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끄는 ‘내외 디스틸러리’와 협업한 싱크 넥스트 라운지 ‘우물(Wells)’에서는 아티스트 큐레이션이 함께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한편, 세종문화회관이 국내 공연계 최초로 출시한 구독 서비스 ‘클럽 뉴 블랙’은 올해도 200매 한정 수량으로 오픈하며 뜨거운 열기를 이어간다. 클럽 뉴 블랙 회원을 위한 선예매는 4월 10일(목) 오전 11시부터, 패키지 예매는 같은 날 오후 2시부터 시작된다. 세종S멤버십 선예매는 4월 21일(월) 오후 2시, 일반 예매는 4월 28일(월) 오후 2시부터 가능하다. 관람료 3만 5천 원 ~ 9만 5천 원. 문의 세종문화티켓 02-399-1000
- 국내 컨템퍼러리 공연예술의 아이덴티티, 싱크 넥스트의 시작과 현재
세종문화회관이 기획·제작하는 무경계 컨템퍼러리 싱크 넥스트가 올해로 4회를 맞는다. 실험성과 예술성, 동시대성을 바탕으로 블랙박스 극장 기반의 새로운 공연 형식과 예술적 좌표를 제시해 온 싱크 넥스트는 관객에게는 ‘놓치면 안 되는 공연’, 아티스트에게는 ‘꼭 한 번 서고 싶은 무대’로 자리매김하며, 국내 컨템퍼러리 공연예술의 독보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지난 3년간 총 55팀의 아티스트, 34편의 작품을 선보인 싱크 넥스트는 대중성과 실험성 사이의 균형 있는 프로그래밍으로 관객의 꾸준한 지지를 얻었다. 특히 지난해 싱크 넥스트 24는 90%가 넘는 객석 점유율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성과를 달성했으며, ‘제작극장 세종’ 체계 아래 제작된 작품의 국내외 수상과 초청도 이어졌다. 대표적으로 《조 도깨비 영숙(2024)》은 2024년 이데일리 문화대상 국악 부문 최우수작으로 선정되었고, 《백현진 쑈: 공개방송(2023)》은 제50회 서울독립영화제 개막작으로 뽑힌 데 이어 및 영국 코로넷시어터(The Coronet Theatre) 시즌 프로그램에도 초청된 바 있다.
올해 싱크 넥스트 25는 전체 프로그램의 80% 이상을 초연 및 창작으로 구성하여, 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기획을 예고한다. ‘무경계 컨템퍼러리’를 키워드로,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는 자유로운 시도를 통해 가장 동시대적인 예술 경험의 확대를 제안한다. 특히, 이 같은 창작의 실험은 서울이라는 도시가 가진 독특한 예술 감각과 역동적인 에너지를 바탕으로 더욱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세종문화회관 안호상 사장은 “치열한 창작의 노력이 축적될수록, 서울은 전 세계 동시대 예술의 흐름을 이끄는 창작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지난 3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싱크 넥스트가 본격적인 허브 역할 수행에 나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2년 첫선을 보인 이후 싱크 넥스트는 브랜드 정체성 고도화, 창·제작 기반 구축을 넘어 생태계 확장과 글로벌 네트워크 형성, 관객과의 소통에서 커뮤니티 중심의 관객 경험 혁신으로 나아가며 매해 진화하고 있다. 올해 역시 공연과 전시, 무용과 퍼포먼스, 연극과 라이브 스트리밍 등 장르와 형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이고 입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싱크 넥스트만의 ‘경계 없는 컨템퍼러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 장르의 경계를 지우다, 싱크 넥스트가 그리는 색다른 감각의 흐름
올해 싱크 넥스트 25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무경계’를 향한 대담한 선언이다. 장르와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기존의 틀을 과감히 해체하고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는 아티스트를 무대에 올린다.
루시드폴, 정마리, 부지현 on Sync Next 25 (7.4.~7.6.) 싱크 넥스트 25의 문을 여는 첫 무대는 루시드폴, 정마리, 부지현 세 아티스트가 함께한다. 싱어송라이터에서 앰비언트 음악으로 스펙트럼을 확장해 온 루시드폴, 협업 아티스트로 보컬리스트 정마리와 설치미술가 부지현이 합류했다. 정마리는 정가와 그레고리오 성가의 경계를 넘나들며 소리의 근원을 탐구하고, 부지현은 제주 바다에서 받은 영감을 감각적인 설치 작업으로 풀어낸다. 앰비언트 음악, 정가, 설치미술이 서로 다른 속도와 주기로 어우러지는 이 무대에서 루시드폴은 관객이 자신의 감각을 따라 몰입하는 초월적 경험을 제안한다. 객석에 앉아 감상하는 기존 공연 형식을 벗어나, 관객이 객석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체험함으로써 세종S씨어터 전체를 하나의 거대한 바다처럼 물들인다. 이번 시즌 개막작이기도 한 세 아티스트의 무대는, 빛과 소리가 이끄는 감각의 유영 속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앙상블블랭크, 주정현 on Sync Next 25 (7.18.~7.19.) 2017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 작곡 부문에서 최연소 우승을 차지하며 주목받은 최재혁이 이끄는 앙상블블랭크, 2024년 대한민국예술원 젊은예술가상을 수상한 해금 연주자이자 작곡가 주정현이 처음으로 협업 무대를 펼친다. ‘가장 지금의 음악을 고민하는 두 창작자가 선사하는 가장 야성적인 순간’이라는 모토 아래, 동양의 악기와 서양 음악 유산이 교차하고, 익숙한 연주 안에 낯선 청음 경험이 공존하는 무경계의 지점을 탐색한다.
리퀴드사운드 on Sync Next 25 (7.25.~7.26.) 전통연희를 동시대의 감각으로 풀어내며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전통의 확장’을 시도해온 리퀴드사운드는 싱크 넥스트 25 초청으로 《OffOn 연희해체 프로젝트Ⅱ》를 공연한다. 한국과 유럽을 오가며 다양한 예술가들과 공동 작업을 이어온 리퀴드사운드는, 전통연희를 동시대 공연 언어로 되살리기 위해 무엇을 해체하고(Off), 조합할 것인가(On)를 꾸준히 탐구해 왔다. ‘Off’와 ‘On’이라는 이중 개념에서 출발한 이번 공연은, 런웨이를 연상케 하는 무대 위에서 전통음악과 전자음악이 교차하고, 신체 움직임과 시각적 요소가 어우러지며 세종S씨어터의 공간을 새롭게 탈바꿈시킨다.
문상훈과 빠더너스 on Sync Next 25 (8.22.~8.24.) 185만 명의 구독자를 자랑하는 유튜브 채널 ‘빠더너스’의 프론트맨이자, 넷플릭스 시리즈 ‘D.P’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인상 깊은 연기를 보여준 배우 겸 코미디언, 작가 문상훈이 무대 작업에 도전한다. 그는 싱크 넥스트 23 《백현진 쑈: 공개방송》 당시, 아티스트 백현진과 말맛 넘치는 콩트를 통해 무대에서의 잠재력을 드러냈다. 올해는 출연진으로 등장, 라이브 방송의 리듬과 공연의 현장성이 어우러진 무대에 빠더너스 특유의 유머와 즉흥성을 더하여, ‘공연으로 확장된 스케치 코미디’라는 새로운 형식을 공개한다.
- 무대의 언어를 확장하는 동시대 창작자들의 시선
컨템퍼러리 공연예술의 최전선을 탐색하는 싱크 넥스트 25는, 주목할 만한 장르적 움직임에도 예리한 질문을 던진다. 무대, 공간, 움직임, 음악 등 다양한 매체와 장르를 넘나들며 동시대의 감각을 새롭게 조율하는 아티스트들은, 기존의 공연 문법을 벗어나 관객과 예술의 관계를 다시 묻는다.
코끼리들이 웃는다 on Sync Next 25 (7.20.~7.22.) ‘코끼리들이 웃는다’는 지난 싱크 넥스트 23에서 프로그램 《물질》을 통해 관객 각자가 마주한 물결 앞에서 하나로 연결되는 깊은 감각의 경험을 남겼다. 올해는 새로운 프로그램 《마주하고 마주하니》를 통해 싱크 넥스트 25 초청으로 색다른 무대를 선보인다. 사람과 사람이 마주하는 순간의 떨림, 그리고 그 안에서 서로의 감각이 깨어나는 찰나를 다루는 이 작품은, 오직 45명의 관객과 45명의 배우가 일대일(1:1)로 마주하는 독특한 구성을 통해 깊은 몰입을 유도한다. 관객은 ‘보는’ 위치를 벗어나, 극의 흐름 속에 직접 참여하며 진짜 만남이 무엇인지 경험하게 된다.
해니, 미스터 크리스 on Sync Next 25 (8.14.~8.16.) 서울 기반의 안무가이자 댄스 크루 ‘팀 매그놀리아’의 디렉터였던 해니와, 프라하를 중심으로 유럽 일대에서 활동하는 댄서이자 시각예술가 미스터 크리스(Mr. Kriss)가 협업 무대를 공개한다. 싱크 넥스트 최초의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될 30인의 댄서와 함께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집단적 움직임을 통해 몸과 내면, 그리고 타인과의 감각적 교감을 탐색한다. 작품 《우리 OO-LI》는 ‘우리(cage)’와 ‘우리(us)’라는 이중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세종S씨어터를 가득 채우는 군무 속에서 댄서와 관객이 서로의 감각을 비추고 교환하는 새로운 파장을 만들어낸다.
아이슬란드 태생의 섬세하고 세련된 작곡가 올라퍼 아르날즈(Ólafur Arnalds), 폴란드 출신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하니아 라니(Hania Rani)의 음악, 그리고 한국의 앰비언트 뮤지션 모하니(Mohani)가 사운드를 맡아 작품의 정서적 밀도를 더욱 풍부하게 채운다. 현재 댄서 공개 모집이 진행 중이며, 5월 초 오디션·R&D 워크숍을 거쳐 보다 정교하고 감각적인 창작 과정을 통해 완성도 높은 무대의 실현을 예고한다.
벌트vurt., 업체eobchae on Sync Next 25 (9.5.~9.6.) 베를린 테크노 문화가 2024년 독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며 세계적 주목을 받은 가운데, 싱크 넥스트 25는 이 흐름을 서울에서 재구성한다. 10년 넘게 서울의 테크노 신(scene)을 지켜온 벌트(vurt.)가 큐레이션을 맡고, 몰입도 높은 오디오-비주얼로 주목받는 업체eobchae가 공간을 구성한다. 총 5시간에 걸쳐 진행되는 이 공연은 테크노 클럽과 공연, 설치와 라이브셋의 경계를 허물고, ‘트랜스 상태’를 퍼포먼스 형식으로 치환한다. ‘평화’와 ‘연대’라는 키워드를 품은 이번 무대는, 음악 속에서 함께 몰입하는 집단적 감각을 무대의 언어로 번역하여 관객을 전례 없는 경험으로 이끈다. 기존의 싱크 넥스트 관객은 물론, 테크노 리스너에게도 새로운 차원의 몰입을 선사할 것이다.
- 낯익은 이름들, 새로운 시도, 뜻밖의 무대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 아티스트들의 라인업과 그들의 감행하는 새로운 도전은 올해도 풍성하다. 다양한 장르와 미디어를 넘나들며 자신만의 창작 세계를 무대로 옮기는 아티스트들은, 올해도 싱크 넥스트 25에서 전례 없는 형식과 실험을 이어간다.
수민&슬롬 on Sync Next 25 (7.11.~7.12.) 올해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상을 받으며 ‘정통성과 실험성의 공존’이라는 평을 얻은 수민&슬롬이 싱크 넥스트 무대에 오른다. 솔직하고 창의적인 언어, 장르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사운드로 주목받아 온 싱어송라이터 수민과, 그 감각을 섬세하게 완성하는 프로듀서 슬롬은 앞서 전석 매진을 기록한 공연으로 높은 기대를 입증한 바 있다. 이번 무대는 ‘카메라’를 하나의 무대 장치이자 시선의 도구로 활용해, 공연과 관람 사이의 경계를 새롭게 조율한다. 카메라 렌즈를 통해 바라보는 시선과 실제 현장 사이에서, 관객은 색다른 방식으로 무대를 경험하게 된다. 우리 모두를 가로지르는 감각의 프레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탐색하는 실험적 시도다.
강남, 김효은, 이준우 on Sync Next 25 (7.31.~8.2.) 뮤지컬 ‘동네’에서 호흡을 맞췄던 작가 강남, 작곡가 김효은, 연출가 이준우가 다시 한번 뭉쳐 새로운 1인극 《문 속의 문》을 선보인다. SF 거장 허버트 조지 웰즈의 1906년 단편소설 『벽 속의 문』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이번 작품은, 꿈과 현실의 경계에서 인간의 욕망을 섬세하게 들여다본다. 연극 ‘붉은 낙엽’, 뮤지컬 ‘홍련’ 등에서 몰입감 있는 무대를 만들어온 이준우의 연출 아래, 강남의 치밀한 극작과 김효은의 서정적인 음악이 어우러져 높은 밀도의 드라마를 완성한다. 뮤지컬 ‘렛미플라이’, ‘긴긴밤’ 등으로 작품성과 제작 역량을 인정받은 라이브러리컴퍼니가 싱크 넥스트와 공동 개발하는 이번 작품은 ‘과정공유작’으로, 2026년 정식 공연에 이어 국내외 진출을 목표로 한다. 제작극장 세종과 싱크 넥스트의 브랜딩이 더해지며, 새로운 레퍼토리의 탄생을 기대하게 한다.
제이통 on Sync Next 25 (8.8.~8.9.) 한국 힙합 신에 ‘자연’이라는 감각을 불어넣은 독보적인 래퍼 제이통이 싱크 넥스트의 첫 힙합 무대를 연다.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가치는 소중합니다”라는 문장을 모토로, 쓰레기를 줍고 농사를 짓는 삶의 태도를 실천해 온 그는, 이번 공연 《솔방울과 비트》에서 자연의 리듬으로 시작해 문명과 충돌하며 고조되는 음악의 흐름을 무대 위에 펼친다. 오랜 시간 음악적 호흡을 맞춰온 밴드 로다운30, 래퍼 노스페이스갓과 함께 무대를 완성한다.
김성훈 on Sync Next 25 (8.28.~8.30.) 사회적 이슈를 현대인의 초상으로 풀어내 온 안무가 김성훈은, 새로운 작업 《핑크》를 통해 우리가 무심코 아름답다고 여기는 것들에 내재된 폭력성과 억압의 메커니즘을 드러낸다. 아르토의 잔혹극 개념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닦이고 씻겨 나가는 무대 위에 남겨진 지워지지 않은 흔적을 통해 통제와 단정이라는 억압의 얼굴을 시각적으로 조명한다. 트라우마와 심리적 고통, 그리고 역설적으로 다정하게 다가오는 ‘따뜻한 억압’이 교차하는 이 작품은, 신체의 움직임과 강렬한 이미지로 관객의 감정과 감각을 깊이 흔든다.
- 감각을 공유하고 커뮤니티로 확장되는 싱크 넥스트
지난해 공공극장 최초로 성수동에서 팝업 이벤트를 열며 공연장의 경계를 확장했던 싱크 넥스트가, 올해도 무대 밖 관객 경험의 지평을 넓힌다. 싱크 넥스트 25의 시작과 끝을 가로지르는 음악 장르에 주목하며, 가장 동시대적인 감각의 테크노·앰비언트 스테이지가 6월 이태원에서 펼쳐진다. 리스닝 파티 형식의 《뉴 블랙 익스피리언스》는 싱크 넥스트 25의 방향성을 미리 엿보는 자리로, 음악 아래 화합과 연대의 순간을 만들어낼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공개된다.
올해는 관객들이 더 깊이 참여하는 워크숍 프로그램도 별도 운영된다. 서울시발레단 ‘데카당스’로 화제를 모은 안무가 오하드 나하린의 신체 움직임 언어 ‘가가(Gaga)’를 직접 체험하는 《가가 워크숍》(8.10.~8.11.)은 한국인 최초의 바체바 무용단원으로 활약한 김천웅 안무가가 안내자로 참여한다. 무용 경험이 없는 일반 관객부터 전문 무용수까지, 모두가 신체 감각의 깊이를 새롭게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이다. 해니와 미스터 크리스는 서른 명의 무용수와 함께한 창작 과정을 공유하는 《해니 워크숍》(8.16)을 진행한다. 신작 《우리 OO-LI》의 주요 아이디어를 누구나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신체 중심 워크숍이다.
무대 밖에서의 새로운 커뮤니티 경험도 마련된다. 국내 증류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끄는 ‘내외 디스틸러리’와 협업한 싱크 넥스트 최초의 라운지 ‘우물(Wells)’이, 같은 기간 세종S씨어터 입구에 문을 연다. 우리 전통주 칵테일 한 잔과 함께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이자, 디제잉과 대담, 아티스트 큐레이션 프로그램이 어우러지는 열린 교류의 장으로 운영된다. 우물처럼 깊고 넓게, 공연과 일상 사이를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싱크 넥스트는 매해 파격적인 기획과 독창적인 프로그램으로 충성 관객층을 확대해 왔고, 그 중심에는 국내 공연계 최초로 출시한 구독 모델 ‘클럽 뉴 블랙’이 있다. 200매 한정 수량으로 판매되는 ‘클럽 뉴 블랙’은 2023년 첫 출시 이래 매년 오픈과 동시에 매진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최고 할인율 40% 제공과 선예매 혜택은 물론, 관람 편수에 따라 누리는 리워드 프로그램까지 신설된다. 또한 공연을 직접 큐레이션 할 수 있는 ‘싱크로나이저 패키지’도 운영된다. 총 11편의 공연 중 3편 이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최대 30%의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공연별 최고 등급 좌석에 한해 1인당 2세트까지 구매 할 수 있으며, 200세트 한정 판매한다.
‘클럽 뉴 블랙’ 회원은 4월 10일(목) 오전 11시부터 선예매가 가능하고, ‘싱크로나이저 패키지’는 같은 날 오후 2시부터 구매할 수 있다. 세종S멤버십 선예매는 4월 21일(월) 오후 2시, 일반 예매는 4월 28일(월) 오후 2시부터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sejongpac.or.kr) 및 싱크 넥스트 인스타그램(@syncnext)에서 확인 가능하다. 관람료 3만 5천 원 ~ 9만 5천 원. 문의 세종문화티켓 02-399-1000
Copyright ⓒ Acrofan All Right Reserved.